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성령론
- 바빙크
- 헤르만 바빙크
- 이신칭의
- 하나님의 나라
- 종교개혁
- 지혜
- 칭의
- 인천 동구 교회
- 존 웨슬리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 존 칼빈
- 믿음
- 신앙고백서
- 선교적 교회론
- 선교적 교회
- 인천 교회
- 칼빈
- 만석동 교회
- 성결교회
- 만석교회
- 입양
- 웨슬리
- 오픈 시크릿
- 만석성결교회
- 말씀묵상
- 교리문답
- 삼위일체
- 레슬리 뉴비긴
- 만석 교회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17)
이참리의 하루한장

[눅17:20-21] 20 바리새인들이 하나님의 나라가 어느 때에 임하나이까 묻거늘 예수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하나님의 나라는 볼 수 있게 임하는 것이 아니요 21 또 여기 있다 저기 있다고도 못하리니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 [Luke 17:20-21, NIV] 20 Once, having been asked by the Pharisees when the kingdom of God would come, Jesus replied, "The kingdom of God does not come with your careful observation, 21 nor will people say, 'Here it is,' or 'There it is,' because the kingdom of God i..

별을보고 예수께 경배하러 온 동방의 박사들은, 현자(wise men이나 doctor)가 아니라 마구스(Magus), 즉 동방의 점성술사였다. 동방의 점성술사들은 이방인들의 대표로서 온 세상의 구원자가 되시는 예수그리스도께 경배하러 온 것이다. 그들이 가지고온 황금과 유향과 몰약 출애굽기 30장에 보면 이 세가지 선물이 한꺼번에 나오는 본문이 등장한다. 그것은 분향단인데, 황금은 향단을 만드는 재료이고, 유향은 이 향단에서 태워지는 향이었으며, 몰약은 성전의 기물들과 대제사장을 정결케하는 것이었다. 그리스도께서 만왕의 왕이심을, 그리스도께서 열방을 구원할 대제사장이심을 말씀하고 있다.

예수님은 목수이셨을까? 우리는 일반적으로 예수님을 목수의 아들로 알고 있습니다. 예수님의 아버지 요셉이 목수이었고, 예수님도 어린 시절 아버지 요셉의 일을 도와 목수로 활동하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예수님께서는 정말로 목수이셨을까요? 몇 가지 생각해 보겠습니다. 첫 번째로 예수님께서 공생애를 시작하기 전, 어린시절을 보낸 곳은 나사렛이라는 작은 도시입니다. 가나안 땅은 건축물이나 가구를 만들만한 크고 반듯한 나무들이 자라기 힘든 환경입니다.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건축에 사용될만한 나무들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구약성경에서도 다윗과 솔로몬은 궁궐과 성전을 건축하기 위해서 레바논에서 많은 양의 백향목을 수입하였습니다(삼하 5:11) 나무 자제를 수상교통을 통해서 수입하여 가공을 해서 쓰다..

성령의 신학자 존 칼빈(6-10장) 성령의 신학자 존 칼빈 국내도서 저자 : 김재성 출판 : 생명의말씀사 2004.12.15 상세보기 6장 율법과 복음 성경에서는 율법과 복음을 구별해서 사용하고 있다. 율법들은 기독교인들이 힘써야 하는 경건과 복음의 특징들이 있다. 그래서 복음은 율법과 함께 선포되어야만 한다. 그리스도인들은 예수 그리스도가 성취하신 구원의 소식, 즉 복음을 믿고 살아가며 율법에 순종하는 것이다. 복음을 믿음으로 우리는 하나님의 호의를 받아들이게 되는 것이요, 율법을 지킴으로 하나님의 인도하신을 받는 것이다. 하나님의 의를 사모하는 사람들은 하나님의 도움 가운데서 더욱더 거룩한 생활에 힘쓰게 된다. 그러나 값싼 복음주의자들은 구약의 율법을 순종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한다. 반율법적인 사상인..

기독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지 130여년이 되었는데 시간이 흐르면서 교회 안에 좋은 전통들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교회에 다니는 사람들은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의 생각 속에는 교회 다니면 술, 담배를 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이 생기게 된 이유가 있습니다. 조선 땅에 처음 선교사들이 들어 왔을 때, 열다섯, 열여섯 먹은 아이들도 담배를 입에 물고 있었고. 또 가을철에 농사 일이 다 마무리가 되고 추수가 끝나면, 겨울 내내, 남자들이 사랑방에 모여 밤새도록 마작이나 화투 등의 노름을 하며 술에 취해 그 긴 겨울을 다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나라에 들어온 선교사들은 술과 담배, 노름 하는 것을 죄악시 하고 금기 시켰습니다. 교회를 ..

구원의 서정 루터파 신학자인 프란츠 부테우스(Franz Buddeus)와 야콥 카르포프(Jacob Carpov)는 18세기 전반에 "구원의 순서(ordo salutis)"라는 말을 처음 만들어 냈다. 1. 로마 가톨릭 신학에서는 보통 구원의 순서를 은혜가 교회의 성사(성례)를 통해 매게된다는 관점으로 표현한다. (영세 성사 - 견진성사 - 성체 성사 - 고해 성사 - 종부 성사) 2. 루터파 신학에서는 은혜의 순서를 인위적인 단계 구분 없이 성령의 복합적인 은혜의 사역으로 정의하고 구분하려는 개념이다. (부르심 또는 소명 - 조명 - 회심 또는 회개 - 거듭남 - 칭의 - 신비로운 연합 - 새로워짐 또는 성화 - 보존) 3. 아르미니우스 주의 (보편적, 외적 부르심 - 회개와 믿음 - 칭의 - 성화(그리..

왼쪽 - 안드레이 루블료프(Andrei Rublyov; 1360-1427)가 1400년에 완성한 삼위일체(The Trinity)는 크기 142 x 114 cm의 목판에 템페라로 그려진 이콘으로 현재 모스크바의 트레챠코프 화랑에 전시되어 있으며, 성부 성자 성령의 삼위를 묘사한 작품이다. 왼쪽부터 성부, 성자, 성령이다. 삼위가 같은 얼굴을 하고 있으며 성자와 성령은 성부를 향하여 고개를 숙이고 있다. 성부도 고개를 숙이셨다. 그에반해 오른쪽 서방교회의 삼위일체 아이콘은 성부와 성자 그리고 성부와 성자 사이에 수직적인 성령(비둘기)이 있다. 삼위일체론에 있어서 동방은 삼위론이나 삼위에서 출발하여서 일체성으로 귀착하는 반면에, 서방은 하나님의 일체성이나 하나의 신적 실체에서 출발하여서 위격으로 나아간다는 것..

하나님의 칭의론 국내도서 저자 : 앨리스터 맥그라스(Alister E. McGrath) / 한성진역 출판 : 기독교문서선교회(CLC) 2008.05.15 상세보기 하나님의 칭의론 (3-4장) 기독교 교리 칭의론의 역사 - 앨리스터 맥그래스 제 3장 개신교 : 종교개혁 시대의 칭의 논쟁 1. 종교개혁 칭의 교리의 전령? 종교개혁 교회의 가르침과 초창기 시대 칭의론 사이의 역사적 연속성을 둘러싼 질문은 날카로운 압력이 된다. 로마 가톨릭 대적자들은 종교개혁의 가르침이 신학적 발명품이라고 생각했다. 부세(Bossuet)는, 종교개혁자들이 칭의론에서 가톨릭 교회의 일반적 가르침을 심각히 수정했으며, 이러한 수정은 자신들이 정통적이며 보편적이라는 주장을 사실하게 만든다고 지적한다. 종교개혁자들은 두 가지 방식으로..

칭의를 말하다 (Justification: God's Plan and Paul's Vision) 톰 라이트 칭의를 말하다 국내도서 저자 : 톰 라이트(Nicholas Thomas Wright) / 최현만역 출판 : 에클레시아북스 2011.04.29 상세보기 1부 : 개관 제 2장 칭의는 무엇에 관한 내용이며, 왜 중요한가? 태양이 지구 주의를 회전하고 있다고 믿는 친구의 이야기로 글을 시작하는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첫째는 내가 시작한 그 논쟁이 ‘성경에 대한 신선한 이해’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천동설이 상징하는 신학적 주장은 나와 나의 구원이 기독교 신앙 전체의 중심이라고 믿는다는 것이다. 구원이 너무나 중요한 문제이지만 우리가 우주의 중심은 아니다. 우리 관점에서 보면 ‘나와 나의 구원’이 기..

예수님께서는 이 땅에 오셔서 많은 기적과 이적을 행하셨습니다. 그 뿐아니라 사도행전에도 사도들은 환상을 보았고 기적을 행하였습니다. 그런데 왜 현대에는 이런 기적들이 나타나지 않을까요? 고전 1: 21 하나님의 지혜에 있어서는 이 세상이 자기 지혜로 하나님을 알지 못하므로 하나님께서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셨도다 하나님의 나라는 말씀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하나님께서는 전도의 미련한 것으로 믿는 자들을 구원하시기를 기뻐하십니다(고전1:21). 궁극적으로 복음은 언어를 통해 전파됩니다. 물론 언어와 문자의 한계는 있지만, 제한된 언어와 문자에 성령께서 임하실 때, 살아 역사하게 됩니다. 성경에 나타난 초대교회의 기적들은 복음 전파의 긴박성을 나타냅니다. 기적 자체를 위한 기적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