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만석교회
- 레슬리 뉴비긴
- 만석동 교회
- 성결교회
- 웨슬리
- 하나님의 나라
- 만석성결교회
- 인천 교회
- 선교적 교회
- 입양
- 선교적 교회론
- 헤르만 바빙크
- 이신칭의
- 삼위일체
- 말씀묵상
- 칼빈
- 오픈 시크릿
- 칭의
- 성령론
- 신앙고백서
- 존 웨슬리
- 인천 동구 교회
- 종교개혁
- 교리문답
- 바빙크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 만석 교회
- 지혜
- 믿음
- 존 칼빈
- Today
- Total
목록만석 교회 (6)
이참리의 하루한장

3. 입양 : 가족의 언어(거절에서 용납으로) "사랑 안에서 ... 그 기쁘신 뜻대로 우리를 예정하사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자기의 아들들로 입양하셨으니."(에베소서 1:4-5) 문화적 괴리 1세기 로마에서 입양된다는 것은 대단히 영예로운 일이었다. 고대 로마 문화에서 입양은 이류가 아닌 인류가 되는데 필요한 특전이었다. 구원을 가리키는 이 성경 용어의 1세기 맥락을 이해하면 오늘 우리에게 전달되지 않는 강력한 함의를 헤아리게 된다. '입양'을 의미하는 헬라어 후이오테시아(huiothesia)는 '아들'을 뜻하는 후이오스(huios)와 '배치'(a placing)를 뜻하는 테시스(thesis)의 합성어다. 입양은 누군가를 아들의 자리에 배치하는 것이었다. 로마의 입양은 한 가정에서 다른 가정으로의 이동..

2. 칭의 : 법정의 언어(유죄에서 무죄로) “그러므로 사람이 의롭다 하심(justified)을 얻는 것은 율법의 행위에 있지 않고 믿음으로 되는 줄 우리가 인정하노라”(롬 3:28) 불신자들은 기독교인들이 죄에 과도하게 집착한다고 생각한다. 우리가 죄 사함이 필요한 죄인이라는 복음적 확신을 불쾌하게 여긴다. 관용을 중시하는 사회에서 죄를 부각시키는 것은 억압적이며 시대에 역행하는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그러나 죄에 대해 말하지 않고서 복음을 이야기 할 수 없다. 우리는 정확히 말해 죄의 결과로부터 구원받았다. 외부에서 온 의 일반적인 헬라어 용례에서 ‘칭의’는 법정 전문 용어였다. 여기에는 법정 심문 절처와 하나님의 무죄 선고 등이 포함되어 있다. 로마 가톨릭의 ‘주입된(infused) 의’ : 의의 ..

구원의 언어 '구원 받음'의 언어적 풍요로움을 찾아서 1장 중생 – 생물학의 언어(사망에서 생명으로) 헬라어 팔린케네시아(palingenesia)(팔린은 ‘다시’, 게네시아는 ‘낳다’)는 ‘새로운 탄생’ 또는 ‘존재로의 회귀’를 뜻한다. 게네시아는 일상 헬라어에서 ‘태어난 날(생일)’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었다. 중생이란 단어에는 새 피조물(new creation), 재탄생(rebirth), 거듭남(born again) 같은 개념이 모두 들어 있으며, 회개(repentance), 회심(conversion)도 중생이란 맥락에서만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중생한 사람은 사망에서 생명으로 옮겨진 자이며 이것이 기독교의 구원을 설명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이다. 거듭남에 대한 오해 거듭남에 대한 오해는 ‘죄’에 ..

구원의 언어 - 빅터 쿨라진 ‘구원 받음’의 언어적 풍요로움을 찾아서 “다른 이로써는 구원을 받을 수 없나니 천하 사람 중에 구원을 받을 만한 다른 이름을 우리에게 주신 일이 없음이라 하였더라”(행 4:12) 구원에 대한 우리의 오해는 그 다면성을 보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다. 우리는 마치 구원이 죄책(guilt)을 없애고 영생을 얻는 데 국한된 것처럼 일차원적으로 구원을 조망한다. 성경 기자들이 사용한 구원의 언어는 평범한 언어였다. 더러는 ‘속죄’(atonement)나 ‘화목 제물’처럼 시장통이나 장사치의 언어를 가져다 새 의미를 부여하였다. 바울 또한 구원을 설명하기 위해 의롭다 하심(칭의, 속량(구속) 등의 용어를 동원했다. 칭의는 법조계의 언어인 데 반해 속량은 로마 시장에서 유래한 것이고, 화목..

21세기 선교와 세계관의 변화 국내도서 저자 : 폴 히버트(Paul Gordon Hiebert) / 홍병룡역 출판 : 복있는사람 2010.04.30 상세보기 7장 근대적 세계관 역사상 가장 큰 세계관의 변화 중 하나는 17세기 근대 과학과 근대성의 출현으로 일어났다. 4세기 서양의 정신은 유신론적 사상으로, 모든 생명과 자연은 인격적인 하나님, 곧 인간을 향해 완전한 목적을 갖고 계신 분이요 능력이 무한하신 하나님의 감독 아래 있다고 믿었다. 이와 같은 세계에서 사람들은 역사의 목적과 인생의 목적을 이해할 수 있었고, 그 결과 의미 있는 삶을 살 수 있었다. 13세기가 지나자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 프톨레마이오스의 사상이 십자군 전쟁에서 돌아온 순례자들과 스페인의 이슬람교 대학들에서 공부한 학자들에 의..

존 웨슬리의 기독교 해설 3: 목회신학 국내도서 저자 : 토머스 C. 오든 출판 : 웨슬리 르네상스 2020.02.29 상세보기 6장 교회와 말씀 목회 A. 교회 1. 교회에 대하여 교회란 무엇인가? 웨슬리는 설교 74번 교회에 대하여(Of the Church)(엡4:1-6)에서 이 질문에 답한다. 이 설교는 웨슬리 교회론의 요약본이라 할 수 있는데, 웨슬리는 자신의 교회론이 영국 국교회 신조의 제 19조와 정확히 일치한다고 주장하였다. 교회론의 성경적 전제는 교회가 한 성령 안에서 한 소망으로 부르심을 받은 하나의 몸이라는 것이다. 2. 교회는 건물이 아님 웨슬리는 “두 세 신자가 함께 모인 곳에 교회가 있다”(마18:20)는 말로 교회 설명하기를 선호했다. 웨슬리는 바울의 “네 집에 있는 교회”(몬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