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바빙크
- 존 칼빈
- 종교개혁
- 성령론
- 신앙고백서
- 지혜
- 믿음
- 만석 교회
- 웨슬리
- 기독교대한성결교회
- 만석동 교회
- 인천 동구 교회
- 존 웨슬리
- 만석교회
- 선교적 교회
- 헤르만 바빙크
- 칭의
- 레슬리 뉴비긴
- 만석성결교회
- 성결교회
- 입양
- 오픈 시크릿
- 칼빈
- 말씀묵상
- 인천 교회
- 교리문답
- 삼위일체
- 선교적 교회론
- 하나님의 나라
- 이신칭의
- Today
- Total
이참리의 하루한장
무화과를 저주하신 이유(마가복음 11장) 본문
terms.naver.com/entry.nhn?docId=769603&cid=46694&categoryId=46694
무화과나무
[특징] 무화과는 꽃이 피지 않는 과실이라고 해서 무화과라고 하나 실제로 꽃은 과실내에서 피므로 외부로 나타나지 않을 뿐이다. 과육은 꽃받기와 씨방이 발달된 것으로 단백질과 섬유질이 많�
terms.naver.com
예수님께서 잎만 무성한 무화과나무를 저주하신 이유는 무엇인가?
마태복음 21장 12-22절, 마가복음 11장 12-14절, 누가복음 19장 45-46절에 보면 예수님께서 무화과나무에서 열매를 찾으셨으나 열매 없이 잎만 무성함을 보시고 저주하신 사건이 나온다.
마가복음에 의하면 무화과의 때가 아니었음을 알 수 있는데, 예수님께서는 왜 때가 아니었음에도 무화과를 저주하시어 마르게 하셨을까? 무화과 열매의 특성을 잘 알아야 한다. 무화과는 사실 꽃이 없는 나무가 아니라, 우리가 생각하는 열매가 꽃이다. 대부분의 나무가 그러하듯 꽃을 핀 후에야 열매를 맺는다. 즉 무화과는 열매를 맺은 후에야 잎이 무성해진다. 그럼에도 이 나무는 열매 맺기도 전에 때가 아님에도, 잎이 푸르렀다. 이것은 열매도 없으면서 열매가 있는 듯한 모양을 나타내는 외식의 상징라 할 수 있다. 예수님께서 무화과를 저주하신 것은 유대인들의 외식을 책망하는 사건이다.
그리고 후에 나오는 성전을 깨끗하게 하신 사건과 깨끗하게 하신 후에 하신 말씀 “내 집은 만민이 기도하는 집이라”(막11:17)고 말씀하신 것도 연관이 된다. 무화과나무가 뿌리째 마른 것을 보고 질문하는 베드로에게 “무엇이든지 기도하고 구하는 것은 받은 줄로 믿으라”(막11:24)고 말씀하시며 신앙의 외식이 아닌 신앙의 본질, 즉 믿음에 대해서 말씀하고 계신 것이다.
무화과를 먹으며... 외식하지 않는 신앙에 대해서 생각해 보자..
'Biblie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브라함의 중보기도(창세기 18장) (0) | 2020.06.04 |
---|---|
사마리아 여인(요한복음 4장) (2) | 2020.06.03 |
하나님의 나라는 너희 안에 있느니라(누가복음 17장 20-21절) (0) | 2020.05.30 |
동방박사 (0) | 2020.05.29 |
목수의 아들 예수 (0) | 2020.05.29 |